공정하고 투명한 심사로
인증제도 발전을
도모합니다.

정보 자료실

MSDS 용어 및 약어 설명
2010.08.20
MSDS 용어 및 약어 설명 ------------------------------------------------------------------ *다음은 MSDS에서 자주 사용되는 특수 용어 및 약자에 대한 설명입니다. * 용어설명 LD(Lethal Dose) 유해물질의 투여량에 대한 공시생물의 감응작용을 24시간내 치사율로 나타낼 수 있을 때의 투여량 예 ) LD50 : 공시생물의 50%가 24시간 내에 죽게되는 유해물질의 투여량 TD( Toxic Dose) 공시생물의 감응작용이 죽음 외의 바람직하지 않은 독성을 나타내게 될 때의 투여량 예) TD50 : .공시생물의 50%가 죽음 외의 바람직하지 않은 독성을 나타내게 되는 유해물질의 투여량 LC(Lethal Concentration) 공시생물의 감응작용을 치사율로 나타낼 수 있을 때의 유해물질의 대기중 농도 NFPA(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지수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인명이나 재산상의 손실을 막기 위한 안전지수로서 건강위험, 화재위험, 반응성에 대해 각각 0-4로 나누어져 있음 NFPA의 지수표 지수 건강위험 화재위험 반응성 4 치명적임 인화점이 22.8oC 이하 폭발할 수 있음 3 매우유해함 인화점이 37.8oC 이하 충격이나 열을 가하면 폭발할 수 있음 2 유해함 인화점이 37.5 -93.9oC 사이인 물질 화학물질과 격렬하게 반응함 OSHA의 화재 등급 OSHA의 화재 등급은 인화점과 끊는점을 기준으로 Ⅰ,Ⅱ, Ⅲ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물질들의 인화점과 끊는 점이 기준온도 이상인지, 이하인지에 따라 A, B, C로 구분하고 있음 분배계수 (Partition Coefficient, 分配係數) 화학물질이 서로 섞이지 않는 이상간 (二相間) 예를 들면 물과 공기, 물과 유기용매 간에 있어서 분배방법을 나타낸 값으로 보통은 평형에 있는 이상(二相)에서 농도의 비의 상용대수 값으로 나타낸다. 환경 과학적으로 공기- 물 사이에 있어서의 분배계수 및 물-,n- 옥탄올 사이에 있어서의 분배계수가 중요하며 화학물질이 공기-물 사이에 있어서의 분배계수는 그 화학물질의 물의 용해도, 증기압 및 분자량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 것도 있다. 물 n-옥탄올 사이에 분배계수는 생물농축성과도 대체로 관계가 있다. 분배계수= (n-옥탄올 중의 화학물질의 농도)/물 중의 화학물질의 농도)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보통의 n- 옥탄올에 측정하고자 하는 화학물질을 미리 0.01mol/L 이하의 농도로 용해해 두고, 이것에 n-옥탄올 또는 물을 가해서 교반한후, 두상 중의 화학물질을 측정하여 위식으로 구한다. 간이적으로 구하는 방법과 HPLC로 구하는 방법도 있다. 모든 물질에 적용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급성독성 시험 (Acute Toxicity Test) 급성독성이란 대상물질을 실험동물에 1회 또는 24시간이내에 수회 투여 하였을 때 나타나는 독성증상을 뜻하며, 통상적으로 검체투여후 14일 동안을 관찰기간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독성의 정도는 LD50(50% lethal dose)으로 표현한다. 이는 대상물질을 실험동물에 투여하였을 때의 실험 동물의 1/2(50%)이 죽는 투여량 또는 투여 농도를 통계적 방법으로 계산 한 것을 말한다. 즉, 급성독성시험의 목적은 1회 투여에 의한 LD50값의 측정과, 급성독성증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급성독성시험의 의미는 아급성 혹은 만성시험 에 대한 용량수준(dose level)을 선택하고 실험 설계하는데 정보를 제공한다. 급성독성시험은 투여경로에 따라 경구(입을 통하여 몸 속으로 들어가는 것)독성, 피부독성, 흡입독성등의 시험이 있고, 발생시기에 따를 태아폭로, 신생아기 폭로에 따른 독성시험이 있다. 만성독성 시험 (Chronic Toxicity Test) 장기독성 시험 (Long-Term Toxicity Test)이라고 하며 이는 실험동물의 거의 일생동안에 걸쳐 시험물 질을 투여하여 나타나는 독성을 시험 하는 것이다. 시험의 목적은 장기간 투여이후 최대무작용농도를 검출하여 시험물질의 안전성에 대한 최종 평가 및 폭로의 안전수준(safe level)을 결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성 독성시험은 대상물질을 최소한 1년 이상의 기간동안 매일 투여하면서 시험한다. 만성독성 시험은 대상물질에 대한 폭로수준과 독성 을 나타낼 수 있는 수준간의 적절한 안전한계를 알아 내기 위하여 또 구조 적, 기능적으로 미치는 영향의 변화을 정의하기 위하여 치사율, 체중변화, 혈액검사 및 임상적 변화를 보아야 한다. 변이원성(Mutagenicity) 돌연변이원성 또는 유전자독성 (Genotoxicity)이라고 하며 화학적 물질적 요인에 위해 생물체의 세포내 유전물질인 DNA를 손상시켜 발생하는 변화를 의미한다. 개체의 유전적 구조의 변화는 특히 유전형 변화 (Genotype Change)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적 변화는 급속한 세포분열 및 미분화된 형태의 세포복귀에 따라 암과 같은 질병의 상태로 이어지게 된다. 체세포에서의 돌연변이는 암 발생면에서도 중요하지만 그 개체에만 영향 을 준다. 그러나 생식세포에서의 돌연변이는 그 잠재성이 다음 세대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좀더 심각한 결과를 나타낸다. * 약어설명 1. 정부기관 ● Acgih: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 (미국 산업위생전문가 위원회) ● Dot: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미국 운송부) ● EC: European Communities (유럽 공동체) ●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미국 환경보호청) ●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국제 암 연구기관) ● Nois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 연구원) ● NTP: National Toxicology Program (미국 국가독성 프로그램) ● Osh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미국 노동안전 보건국) ● Rtecs: Registry of Toxic Effects of Chemical Substances (국제 화학물질 독성 등록기구) 2. 노출경로 ● ihl: inhalation (흡입) ● idr: intradermal (피부내) ● ipr: intraperitoneal (복강내) ● ivn: intravenous (정맥내) ● scu: subcutaneous (피하) ● skn: adminitration onto skin (경피) 3. 독성표현 ● LC50: lethal concentration 50% kill (50% 치사농도) ● LCLo: lowest published lethal concentration (최저 치사농도) ● LD50: lethal dose 50% kill (50% 치사량) ● LDLo: lowest published lethal dose (최저 치사량) ● TDLo: lowest published toxic dose (최저 독성 발현량) 4. 독성 및 유해성 시험 ● 시험동물종: rat, rabbit, mouse, guinea pig, dog, cat, trout, goldfish,      chicken, bird, duck ● 급성 독성: 시험동물을 대상으로 1회 또는 단기간내 수회 처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독성으로 보 통 2주일이내에 나타나는 치사동물을 헤아려 LD50, LC50등으로 표시 ● 발암성 여부: 시험동물에 거의 일생동안 투여하면서 병리학적 검사로 암유발성 검증. 단 사람의 경우는 동물시험자료와 역학적 조사를 통해 확인 ● 차세대 영향: 시험동물을 대상으로 일정기간 투여하여 다음세대의 가임능력과 독성내지 기형유 발성을  검증하는 것으로 생식독성과 체기형성으로 나눔 ● 변이형성: 생체내 유전물질의 손상을 시험관내(in vitro) 혹은  생체내(in vivo) 시험으로 검증 ● positive: 확인-해당동물종의 특수독성 시험 수행결과 해당항목의 이상을 구명한 경우 ● suspected: 가능성-일부 특수 독성유발이 인정되나 객관적 입증이 다소 부족한 경우 ● indefinite: 불명확-특수 독성의 시험결과가 불분명한 경우 5. 변이형성 ● cytogenic analysis: 세포 유전 독성 ● dominant lethal test: 우성 치사 ● unscheduled DNA synthesis (UDS): 무질서한 DNA 합성 ● microorganism mutation: 미생물 변이형성 ● micronucleus test: 소핵시험 ● sister chromatid exchange (SCE): 자매염색체 교환 6. 작업장 허용농도 ● PEL: permissible exposure level (허용 노출농도) ● STEL: short term exposure limit (단기 노출 허용농도) ● TLV: threshold limit value (작업장 허용농도) ● TWA: time-weighted average (시간 가중 평균 허용농도) 7. 국제기구에서 분류한 발암성 정도 ● EPA 규정 ● EPA-A: 인간에 대한 발암성이 확인된 물질 ● EPA-B1: 인간에 대한 발암성이 우려되는 물질 ● EPA-B2: 인간에 대한 발암성이 우려되는 물질이나 다소 증거가 부족한 물질 ● EC 규정 ● EC-1: 인간에 대한 발암물질 ● EC-2: 인간에 대하여 발암물질일 것으로 간주되는 물질 ● EC-3: 인간에 대하여 발암가능성이 우려되나 충분히 평가하기에 다소 정보가 부족한 물질 ● IARC ● IARC-1: 인간에 대한 발암물질 ● IARC-2A: 인간에 대한 발암성이 우려되는 물질 ● IARC-2B: 인간에 대하여 발암가능성이 있는 물질 ● NTP ● NTP-a: 인간에 대한 발암물질 ● NTP-b: 인간에 대한 발암물질로 예측되는 물질
첨부파일
    이전글
    인증마크 및 인증마크 사용안내서
    다음글
    ISO 14001 : 2004 규격 개정 내용 안내